아이슬란드 자유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이슬란드 자유국은 930년경부터 1262년까지 존재했던 사회로, 노르웨이에서 이주한 정착민들이 세운 독특한 형태의 국가였다. 고디(goði)라고 불리는 족장들이 이끄는 자치적인 사회였으며, 알싱기(Alþingi)라는 의회를 통해 법을 제정하고 분쟁을 해결했다. 알싱기는 입법 위원회인 뢰그레타(Lögrétta)를 중심으로 운영되었으며, 4개의 행정 구역으로 나뉘어 사법 제도가 운영되었다. 13세기 초 스투를룽 시대를 거치며 내전과 권력 집중이 심화되었고, 노르웨이 왕의 개입으로 1262년 노르웨이 국왕을 옹립하면서 자유국은 멸망했다. 자유지상주의 학자들은 아이슬란드 자유국을 정부의 기능을 시장이 대체하는 모델로 평가하며, 아나코자본주의 체제에 가깝다고 보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나르코자본주의 - 고자유지상주의
고자유지상주의는 자유지상주의와 유사하게 자유를 옹호하지만, 경찰 개입 반대와 범죄자 처벌 완화 등을 주장하며 아나키즘, 신자유주의와 차별성을 보인다.
아이슬란드 자유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공식 명칭 | 아이슬란드 자유국 |
상태 | 국가 없는 공동체 |
시대 | 고대 노르드 시대 |
위치 | 아이슬란드 |
수도 | 싱크베틀리르 |
공용어 | 고대 노르드어 (후에 고대 아이슬란드어) |
종교 | 노르드 이교 (1000년 이전 공식 종교) 천주교 (로마 가톨릭) (1000년 이후 공식 종교) 무신론 (어떤 신에 대한 믿음도 없음) |
오늘날 | 아이슬란드 |
별칭 | 노르드: 아이슬란드 |
지도 및 상징 | |
![]() | |
![]() | |
![]() | |
![]() | |
역사 | |
시작 | 930년경 |
시작 사건 | 알þingi 설립 |
종료 | 1262년 |
종료 사건 | 노르웨이 왕권 |
선행 국가 | 아이슬란드 정착 |
후행 국가 | 노르웨이 왕국 |
정치 | |
정치 체제 | 국가 없는 사회 공동 정치체제 |
지도자 직함 | 중요 추장 (goðar) |
주요 지도자 | 스투를라 시그바트손 (Sturla Sighvatsson) (1199–1238) 콜베인 웅기 아르노르손 (Kolbeinn ungi Arnórsson) (1208–1245) 소르두르 카칼리 시그바트손 (Þórður kakali Sighvatsson) (1210–1256) 기수르 소르발드손 (Gissur Þorvaldsson) (1208–1268) 스투를라 소르다르손 (Sturla Þórðarson) (1214–1284) |
부통령 직함 | 법률 낭독가 |
주요 법률 낭독가 | 소르게이르 료스베트닝가고디 (Þorgeir Ljósvetningagoði) (985–1001) 스캅티 소로드손 (Skapti Þóroddsson) (1004–1030) 스텡 소르게스손 (Steinn Þorgestsson) (1031–1033) 소르켈 툐르바손 (Þorkell Tjörvason) (1034–1053) 겔리르 볼베르크손 (Gellir Bolverksson) (1054–1062/1072–1074) 군나르 소르그림손 더 와이즈 (Gunnar Þorgrímsson the Wise) (1063–1065/1075) 콜베인 플로사손 (Kolbeinn Flosason) (1066–1071) 시그바투르 수르트손 (Sighvatur Surtsson) (1076–1083) 마르쿠스 스케기아손 (Markús Skeggjason) (1084–1107) 울프헤딘 군나르손 (Úlfhéðinn Gunnarsson) (1108–1116) 베르그소르 흐라프손 (Bergþór Hrafnsson) (1117–1122) 스노리 스투를루손 (Snorri Sturluson) (1215–1218/1222–1231) 올라푸르 소르다르손 (Ólafur Þórðarson) (1248–1250/1252) 스투를라 소르다르손 (Sturla Þórðarson) (1251) |
입법부 | 알þingi의 뢰그레타 |
인구 통계 | |
면적 | 950년 측정: 103,000 km² |
인구 | 950년 측정: 50,000명 |
2. 역사적 배경
870년대에 아이슬란드에 처음 정착한 노르드인들은 하랄드 1세 하르파그리가 통일하고 중앙집권을 추진하던 노레그(노르웨이)를 반면교사로 삼았다. 이들은 강력한 왕권 대신 팅그(Þing)라는 민회에서 대소사를 결정하는 게르만족 전통을 유지하고자 했다.[52]
아이슬란드에서 가장 강력한 지도자는 추장(단수형 ''goði'', 복수형 ''goðar'')이었으며, 이들의 직책은 ''goðorð''라고 불렸다. ''goðorð''는 지리적 경계에 제한되지 않아 자유인은 자신의 지역에 있는 어떤 ''goðar''라도 지지할 수 있었다. ''고다르''의 지지자들은 ''Þingmenn''("의회 사람들")이라고 불렸으며, 분쟁 시 ''고디''에게 무장 지원을 제공하고 지역 및 전국 의회에 참석해야 했다.[4]
지역 수준에서는 13개 지역 의회의 ''고다르''가 매년 봄 회의를 열어 지역 분쟁을 해결했고, 전국 의회인 알싱기의 지도자 역할도 했다. 알싱기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의회 기관으로, 930년경 싱벨리어르("의회 평원")에서 처음 소집되었다. 알싱기는 의회의 입법 위원회인 ''뢰그레타''(Lögrétta)를 중심으로 운영되었으며, 39명의 ''고다르''와 그들의 고문으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3년에 한 번 법률대변인(''lögsögumaður'')을 임명하여 법의 바위(Lögberg)에서 법률을 암송하고 명확히 했다.[5] 잉골푸르 아르나르손의 후손들은 알스헤르야고디(''allsherjargoði'')의 의례적인 지위로 매년 알싱기를 성화했다.
아이슬란드는 4개의 행정 구역(fjörðungar)으로 나뉘었고, 각 구역은 9명의 고디가 다스렸다. 알싱기는 각 고디가 지명하는 36명의 재판관으로 구성된 4부 의회('fjórðungsdómur)를 두어 지방 의회에 우선했다. 1005년에는 항소심에 해당하는 제5 의회가 설치되었다.[34] 알싱기가 판결을 내려도 벌을 가하는 기관은 없었고, 피해자 측이 집행을 대행해야 했다. 벌칙으로는 금전적 배상과 시민권 박탈이 있었으며, 매그너슨에 따르면 법원은 "복수의 불안정한 대체"였다.[35]
1117년, 아이슬란드의 법률이 그레이 구스 법으로 명문화되었다. 중세 아이슬란드 정부 구조는 주로 명문법과 Íslendingabók(아이슬란드 학자 아리의 책)에서 밝혀졌다.[36]
정착 초기부터 12세기까지 노예제가 존속했다. 절도범이나 부채 변제 불가능자는 법적으로 노예 신분이 되었다. 12세기 후반에는 노예의 수가 감소했고, 15세기에는 극소수가 되었다.[43]
2. 1. 초기 정착과 고도르드 체제의 성립
870년대에 아이슬란드에 처음 정착한 노르드인들은 하랄드 1세 하르파그리가 통일하고 중앙집권을 추진하던 노레그(노르웨이)를 반면교사로 삼았다. 이들은 강력한 왕권 대신 팅그(Þing)라는 민회에서 대소사를 결정하는 게르만족 전통을 유지하고자 했다.[52]아이슬란드에서 가장 강력한 지도자는 추장(단수형 ''goði'', 복수형 ''goðar'')이었으며, 이들의 직책은 ''goðorð''라고 불렸다. ''goðorð''는 지리적 경계에 제한되지 않아 자유인은 자신의 지역에 있는 어떤 ''goðar''라도 지지할 수 있었다. ''고다르''의 지지자들은 ''Þingmenn''("의회 사람들")이라고 불렸으며, 분쟁 시 ''고디''에게 무장 지원을 제공하고 지역 및 전국 의회에 참석해야 했다.[4]
지역 수준에서는 13개 지역 의회의 ''고다르''가 매년 봄 회의를 열어 지역 분쟁을 해결했고, 전국 의회인 알싱기의 지도자 역할도 했다. 알싱기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의회 기관으로, 930년경 싱벨리어르("의회 평원")에서 처음 소집되었다. 알싱기는 의회의 입법 위원회인 ''뢰그레타''(Lögrétta)를 중심으로 운영되었으며, 39명의 ''고다르''와 그들의 고문으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3년에 한 번 법률대변인(''lögsögumaður'')을 임명하여 법의 바위(Lögberg)에서 법률을 암송하고 명확히 했다.[5] 잉골푸르 아르나르손의 후손들은 ''알스헤르야고디''(allsherjargoði)의 의례적인 지위로 매년 알싱기를 성화했다.
아이슬란드는 4개의 행정 구역(fjörðungar)으로 나뉘었고, 각 구역은 9명의 고디가 다스렸다. 알싱기는 각 고디가 지명하는 36명의 재판관으로 구성된 4부 의회('fjórðungsdómur)를 두어 지방 의회에 우선했다. 1005년에는 항소심에 해당하는 제5 의회가 설치되었다.[34] 알싱이 판결을 내려도 벌을 가하는 기관은 없었고, 피해자 측이 집행을 대행해야 했다. 벌칙으로는 금전적 배상과 시민권 박탈이 있었으며, 매그너슨에 따르면 법원은 "복수의 불안정한 대체"였다.[35]
1117년, 아이슬란드의 법률이 그레이 구스 법으로 명문화되었다. 중세 아이슬란드 정부 구조는 주로 명문법과 Íslendingabók(아이슬란드 학자 아리의 책)에서 밝혀졌다.[36]
정착 초기부터 12세기까지 노예제가 존속했다. 절도범이나 부채 변제 불가능자는 법적으로 노예 신분이 되었다. 12세기 후반에는 노예의 수가 감소했고, 15세기에는 극소수가 되었다.[43]
2. 2. 알팅그와 입법 제도
930년경 팅크베틀리르(의회 들판)에서 최초의 알팅그가 열렸다. 알팅그는 매년 6월에 섬 전체의 자유민이 모두 모여 2주간 개최되었다. 알팅그에는 로그레타(Lǫgréttanon)라는 일종의 법제위원회가 있었다. 로그레타는 알팅그의 핵심 기관으로서 법을 평가하고 수정하는 일을 했다. 로그레타는 39명의 고디들과 자문가들로 구성되었다. 또한 3년에 한 번 의장격인 로그마드(법 말하는 이)를 선임하였다. 로그마드는 법전의 내용 전체를 외워서 팅크베틀리르 중앙의 뢰그페르크(법바위)에서 암송하였다.[54] 알스헤랴르고디(모든 사람들의 추장)는 의전 지도자격으로 알팅그를 축성하여 정당성을 부여하는 일을 했는데, 이 직위는 관례적으로 잉골프 아르나르손의 후손들이 세습하였다.아이슬란드 최초의 팅그는 최초의 정착민 잉골프 아르나르손의 아들 토르스테인 잉골프손이 세운 캴라르네스팅그였다. 캴라르네스팅그의 지도자들은 울플료트라는 사람을 지명해 노르웨이의 법을 공부해 오게 시켰고, 울플료트는 3년간 노르웨이에서 공부하고 돌아와 섬 전체 의회를 세울 기반이 되는 ‘울플료트 법전’을 작성했다.
1117년, 아이슬란드의 법률이 명문화되었다.
3. 정치 및 사회 구조
중세 아이슬란드의 정부 체제는 성문법과 현자 아리가 쓴 《아이슬란드인의 책》을 통해 알 수 있다.[9] 《냘의 사가》, 《락스댈라 사가》 등 아이슬란드 사가에서도 당시 사회상을 엿볼 수 있지만, 그 정확성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에르비갸 사가》는 스노리 고디의 지휘 아래 아이슬란드가 이교에서 기독교로 전환하는 과정을 상세히 보여준다.[10]
고디들은 11세기와 12세기 동안 농민들의 지원에 크게 의존했으며, 군주적인 권력은 없었다.[11] 1190년경부터 족장들의 수가 감소하고 권력이 집중되기 시작했으며,[12] 1220년경에는 10~12개의 지역 권력으로 구성된 느슨한 연맹 형태를 띠었다.[13] 역사가 욘 비다르 시구르드손은 "족장은 자신의 개인적인 자질, 재산, 친구, 의회 구성원, 친족 및 인척을 기반으로 권력을 행사했다."라고 설명한다.[14] 농민의 식량 생산은 정치적, 군사적 권력의 기초였다.[15] 농민들의 불만은 흔했지만, 농민 반란은 일어나지 않았다.[15]
초기 정착민들은 노르웨이의 법적 집회 "Þing"을 본떠 지역 의회를 만들었다. 각 지역의 촌장들은 고디라고 불렸으며, 자유민은 여러 고디 중 한 명을 선택하여 지원할 수 있었다. 고디는 Þingmenn(집회의 사람들)의 이익을 보호했고, Þingmenn은 분쟁 시 고디를 지원했다. Þingmenn은 지역이나 국가의 집회에도 참여해야 했다.[32]
지역 수준에서는 13개 지구의 고디들이 매년 봄에 모여 분쟁을 조정했다. 고디는 국회에 해당하는 알싱에도 참여했다. 알싱은 현존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의회 제도이다. 930년경 싱크베틀리르에서 최초의 알싱이 개최되었다. 알싱은 법을 관장하는 조직인 Lögrétta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3년마다 법관(lögsögumaður)을 1명 선출했다. 법관은 법의 바위 위에서 법을 암송하고 명확히 했다.[33] 아이슬란드는 4개의 행정 구역으로 나뉘었으며, 각 구역은 9명의 고디가 다스렸다. 알싱은 4부 의회('fjórðungsdómur)로 구성되어 지방 의회에 우선했다. 1005년에는 항소심에 해당하는 제5 의회가 설치되었다.[34] 알싱이 판결을 내려도 벌을 집행하는 기관은 없었고, 피해자 측이 집행을 담당해야 했다.[34]
1117년, 아이슬란드의 법률이 그레이 구스 법으로 명문화되었다.[36]
노예 제도는 정착 초기부터 12세기 초까지 시행되었다. 절도나 채무 불이행으로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은 노예가 될 수 있었다. 노예는 결혼하고 아이를 가질 수 있었지만, 노예 신분은 유지되었다. 노예 제도는 12세기 후반에 감소했고, 15세기에는 극히 드물었다.[16]
3. 1. 사법 제도
아이슬란드 자유국의 사법 제도는 고도르드 체제를 기반으로 하였다. 아이슬란드 섬은 4개의 표르둥그(fjórðungr)로 나뉘었고, 각 표르둥그에는 9명의 고디가 있었다. 알팅그에는 사법부에 해당하는 표르둥스도무르(fjórðungsdómur)가 있었는데, 36명의 판관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은 각 고디들이 선임하였다. 판결은 압도적 다수결로 확정되었으며, 판관 중 6명만 반대해도 사건은 기각되었다.[55]1005년, 단순 다수결 기반의 항소재판소인 '다섯째 재판소'가 만들어져 이 문제가 해결되었다. 그러나 재판소에서 유죄 판결이 나와도 이를 집행할 공권력은 없었고, 판결 집행은 피해자나 그 유가족의 책임이었다.[55]
주로 금전적 보상이나 무법자 지정이 형벌로 판결되었다. 무법자는 모든 재산권을 잃고, 누구에게나 살해당해도 처벌받지 않았다. 추방형을 받았으나 아이슬란드를 떠나지 않은 사람도 무법자가 되었다.[56] 그러나 이러한 양형은 불충분하다고 여겨졌고, 알팅그 사법은 사람들 간의 불화를 막는 데 한계가 있었다.[55]
11세기에 기독교가 도입되면서 사회적 중재에 큰 도움이 되었다.[57] 1000년 알팅그는 노르드 전통 종교의 공개 행사를 불법화하고, 외부 침공을 막기 위해 모든 주민에게 세례를 받도록 결의했다.
1117년에는 구전으로 전해지던 법전을 글로 엮어 그라가스를 편찬했다.
3. 2. 군사 제도
고디(추장)의 지지자들은 고디에게 군사력을 제공할 의무가 있었다. 이들은 사회적 지위와 장비에 따라 소대나 중대 규모로 편성되었고, 이렇게 편성된 부대들은 레이드앙그(원정군)를 구성했다. 당시 아이슬란드의 군사 전통은 그 조상들의 고향인 노르웨이의 발전 경로를 밀접하게 따라갔다. 기병 부대나 투사 무기를 갖춘 부대는 존재하지 않았고, 모두 보병이었다. 무장 수준에 따라 중보병과 경보병이 나뉘었고, 활이나 무릿매 같은 원거리 무기는 경보병이 맡았다. 아이슬란드 자유국 말기에는 최소 21개 이상의 요새와 성이 아이슬란드에 건설되었다.[70] 스투를룽 시대에는 전투에 평균 1,000명 미만의 병력이 참여했고, 사상률은 15% 수준이었다.[71] 이는 아이슬란드 사회에 만연했던 혈족 간의 갈등 심리 때문일 수 있는데, 패배한 군대가 전멸당하는 것은 불명예스럽게 여겨졌기 때문이다.3. 3. 종교와 사회
스칼홀트의 초대 주교는 이슬레이푸르 기수라르손으로, 1056년 알팅그에서 선출되었다. 그의 아들 기수르 이슬레이프손이 주교직을 물려받았고, 기수르 대부터 십일조가 도입되어 주교구에 부와 권력이 모이기 시작했다. 이 십일조는 아이슬란드에 처음으로 도입된 세금이었다. 본래 추장이자 동시에 게르만 전통 종교의 사제였던 고디들은 개종 이전과 같이 교회 자산을 소유할 수 있었고, 십일조의 일부를 나눠 가질 수도 있었다.[72] 교회는 알싱 다음으로 아이슬란드에서 두 번째로 통합된 기관이 되었다.[19]아이슬란드는 870년대 처음 개척된 이후 12세기 초까지 노예제가 시행되었다. 아이슬란드 법에서는 절도 혹은 채무 불이행으로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이 스렐(노예)이 될 수 있다고 규정했다. 노예는 결혼하여 자녀를 가질 수 있었으며, 이는 노예 계급의 재생산이 가능했음을 의미한다. 노예 제도는 12세기 후반에 쇠퇴하였고, 15세기가 되면 매우 드물어졌다.[69]
4. 쇠퇴와 멸망
13세기 초엽 아이슬란드는 스투를룽 시대라는 내전기에 접어들면서 쇠퇴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내전은 권력 구조의 변화와 노르웨이 왕실의 개입으로 인해 발생했다. 1262년 아이슬란드의 추장들은 (오래된 언약)을 맺고 호콘 4세를 아이슬란드 국왕으로 옹립하였다.
1264년까지 아이슬란드의 모든 추장들은 노르웨이 국왕에게 충성을 맹세했다.[78] 아이슬란드 자유국의 멸망 시점은 대체로 1262년에서 1281년 사이로 간주된다.[79]
4. 1. 스투를룽 시대와 내전
13세기 초 아이슬란드는 스투를룽 시대라는 내전 시기에 접어들었다. 원래 고디(추장)들은 지리적으로 정해진 영토가 아니라 자유민과의 계약 관계에 따라 역할을 수행했다. 그러나 1220년경부터 이러한 체제는 사라지고, 각 지역의 유력자들이 더 많은 권력을 얻기 위해 서로 싸우는 상태로 바뀌었다. 이러한 내전은 추장들의 수가 줄어들어 힘의 균형이 무너지고 전쟁의 성격이 변화했기 때문에 발생했다. 건국 초기 아이슬란드 자유국의 고디는 최소 39명이었지만, 12세기 후반에는 10여 명으로 줄어들었고, 남은 추장들이 다른 추장들의 권력을 흡수하면서 권력이 집중되었다.[73]추장들의 수가 줄어들고 고도르드 체제가 유명무실해진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우선 기독교로 개종하면서 세속 권력과 종교 권력이 분리되었고, 이에 따라 특정 가문과 지역이 더 강해지면서 권력 불균형이 발생했다. 특히 십일조 도입으로 교회를 장악한 추장들의 부가 늘어났을 수 있다. 지역적으로 회전이 벌어지고 농민들이 고통을 받으면서 사회가 불안해졌고, 이로 인해 자신을 더 잘 보호해줄 수 있는 권력 통합을 원하게 되었을 수도 있다.[74] 또한 인구 증가로 자원이 부족해지면서 자유민들이 추장들에게 더 의존하게 되었을 수 있다.[73]
노르웨이 왕실은 아이슬란드의 추장들에게 자신의 신하가 되어 아이슬란드에서 왕의 이익을 대변하도록 압박했다. 노르웨이 국왕의 아이슬란드 간섭은 1220년경부터 시작되어 1240년에 확고해졌다.[75][76] 1240년에 아이슬란드인들은 국왕의 추장 임명을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이후 1260년경까지 아이슬란드에서 왕권은 더욱 강화되었다.[75] 계속되는 내전에 대한 불만과 노르웨이 왕실의 압박이 결합되어, 1262년 아이슬란드의 추장들은 (오래된 언약)을 맺고 노르웨이 국왕 하콘 4세 하코나르손을 아이슬란드 국왕으로 옹립했다. 역사학자 Sverrir Jakobsson에 따르면, 노르웨이 국왕에게 복종하는 과정에서 세 명의 아이슬란드인이 중심적인 역할을 했는데, 농민들에게 왕에게 세금을 내자고 설득한 고디 기수르 토르발드손, 기수르를 설득하고 서부 피오르드의 농민들을 왕에게 칭신시킨 흐라픈 오드손, 동부 피오르드의 농민들을 왕에게 칭신시킨 주교 바른두르 욘손이 그 세 사람이다.[77]
1264년까지 아이슬란드의 모든 추장들은 노르웨이 국왕에게 충성을 맹세했다.[78]
4. 2. 노르웨이 왕조의 개입과 자유국 멸망
13세기 초, 스투를룽 시대라 불리는 내전기에 접어들면서 아이슬란드 자유국은 혼란을 겪었다. 원래 고디(추장)들은 지리적 영토가 아닌 자유민과의 계약에 기반한 역할을 수행했지만, 1220년경부터 이러한 체제는 무너지고 힘있는 유지들이 권력을 쟁취하기 위해 다투는 상황으로 바뀌었다. 추장들의 수가 줄어들면서 힘의 균형이 무너지고, 전쟁의 성격이 변화한 것이 내전의 직접적인 원인이었다. 자유국 초기에는 최소 39명의 고디가 있었지만, 12세기 후반에는 10여 명으로 줄었고, 이들이 사라진 추장들의 권력을 흡수하며 권력 집중 현상이 일어났다.[73]추장 수가 줄고 고도르드 체제가 약화된 이유는 복합적이다. 기독교 개종으로 세속 권력과 종교 권력이 분리되면서 특정 가문과 지역이 강해져 권력 불균형을 초래했다. 십일조 도입으로 교회를 장악한 추장들의 부가 늘어났을 수 있다. 지역적으로 회전이 벌어지고 농민들이 고통받으면서 사회 불안이 커졌고, 이는 권력 통합을 원하는 동기로 이어졌을 수 있다.[74] 인구 증가에 따른 자원 부족으로 자유민들이 추장에게 의존하는 경향이 커졌을 수도 있다.[73]
노르웨이 왕실은 아이슬란드 추장들에게 신하가 되어 아이슬란드에서 왕의 이익을 대변하도록 압박했다.[73] 노르웨이 국왕의 간섭은 1220년경부터 시작되어 1240년에 확고해졌다.[75][76] 1240년에 아이슬란드인들은 국왕의 추장 임명을 받아들이기 시작했고, 1260년경까지 아이슬란드에서 왕권은 더욱 강화되었다.[75] 내전에 대한 불만과 노르웨이 왕실의 압박이 더해져, 1262년 아이슬란드 추장들은 (오래된 언약)을 맺고 노르웨이 국왕 하콘 4세 하코나르손을 아이슬란드 국왕으로 옹립했다.
역사학자 Sverrir Jakobsson에 따르면, 노르웨이 국왕에게 복종하는 과정에서 세 명의 아이슬란드인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농민들에게 왕에게 세금을 내자고 설득한 고디 기수르 토르발드손, 기수르를 설득하고 서부 피오르드의 농민들을 왕에게 복종시킨 흐라픈 오드손, 동부 피오르드의 농민들을 왕에게 복종시킨 주교 바른두르 욘손이 그들이다.[77]
1264년까지 아이슬란드의 모든 추장들은 노르웨이 국왕에게 충성을 맹세했다.[78] 아이슬란드 자유국의 멸망 시점은 대체로 오래된 언약을 맺은 1262년, 또는 그것이 모든 추장들에게 최종 비준된 1264년부터 새로운 성문법전인 욘의 서가 도입된 1281년 사이로 간주된다.[79]
5. 현대적 관점
자유지상주의 이론가 데이비드 D. 프리드먼은 중세 아이슬란드의 제도가 몇 가지 특이하고 흥미로운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마치 시장 시스템이 정부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정도를 시험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 같다고 평가했다.[27] 그는 아이슬란드의 법률 시스템이 비록 단일 법률 시스템이 존재했지만, 법 집행이 전적으로 사적이고 매우 자본주의적이었기 때문에 실제 아나코자본주의 법률 시스템에 근접했다고 주장한다.[28] 프리드먼은 '공적인' 범죄를 다룰 때도 관련된 사람에게 소송 제기 및 벌금 징수 권한을 부여하여 사적인 시스템처럼 만들었다고 설명한다.[27]
자유지상주의 학자 로데릭 롱(Roderick Long)은 아이슬란드의 정치 구조가 약 40명의 '족장'으로 구성된 의회에 의해 운영되었으며, 이 의회는 예산이나 직원이 없이 1년에 2주만 회의를 열었다고 설명했다. 족장들은 판사 임명과 평화 유지 권한을 가졌고, 이는 수수료 기반으로 처리되었다. 사법 결정은 자력 구제로 집행되었고, 권리가 없는 사람들은 보상 청구를 족장에게 판매했다. 족장의 권력은 시민 사회에서의 권력에 기반했으며, 족장직은 매매 가능한 사유 재산이었다. 그러나 족장직만으로는 권력을 보장할 수 없었고, 자유 농민들의 지지가 필요했다.[29]
프리드먼은 아이슬란드 제도가 당시에는 잘 작동했지만, 더 크고 상호 의존적인 사회에서도 작동할지는 불확실하다고 결론 내렸다.[30] 그는 사가(Saga)에서 아이슬란드가 폭력적이고 부당한 사회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아, 아이슬란드 제도의 성공 여부에 대한 판단이 어렵다고 덧붙였다.[27]
경제학자 빈센트 젤로소(Vincent Geloso)와 피터 T. 리슨의 연구는 아이슬란드와 중세 유럽의 생활 수준을 비교하는 데이터가 부족하지만, 국가가 통치하는 중세 유럽의 생활 수준이 아이슬란드보다 높지 않았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30]
데이비드 D. 프리드먼과 브루스 L. 벤슨은 아이슬란드 자유국이 형사법 시스템, 행정부, 관료주의 없이도 상당한 경제적, 사회적 진전을 이루었다고 주장했다.[31]
5. 1. 아나코자본주의와의 비교
데이비드 프리드먼은 중세 아이슬란드의 제도가 정부의 기능을 시장이 대체할 수 있는지 시험하는 실험장 같았다고 평가했다.[58] 그는 아이슬란드 자유국을 아나코자본주의 체제라고 명확히 규정하지는 않았지만, 아나코자본주의가 현실에 구현된 모습에 매우 가깝다고 주장했다.[59] 프리드먼은 법 집행이 사적이고 자본주의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진 사회의 작동 방식을 아이슬란드의 중세사가 보여준다고 보았다. 범죄에 대한 벌금 징수 권리와 책임은 피해자나 유족에게 부과되었다.[58]중세 아이슬란드의 사법은 40명 남짓한 추장들이 담당했고, 의회인 알팅그는 예산이나 상근 직원이 없었다. 추장들은 판관을 세워 평화를 유지하게 했지만, 판관의 재판은 행위별수가제로 이루어졌다. 사법부의 결정은 사적제재로 실행되었고, 이로 인해 사적 원한 관계가 많았다. 사적제재권이 부족한 사람들은 보상청구권을 힘있는 사람, 주로 추장에게 팔았다. 추장직은 사유재산으로 매매될 수 있었고, 추장들은 사리사욕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비르기르 솔바손(Birgir Solvason)의 연구에 따르면, 추장직을 사는 것만으로는 권력을 보장할 수 없었고, 자유민들의 자발적 지지가 필요했다. 아이슬란드 추장의 권위는 토지가 아닌 분쟁조정 사업의 고객 유치 능력에 달려 있었다.[61]
자유지상주의 이론가 데이비드 D. 프리드먼은 중세 아이슬란드의 제도가 시장 시스템이 정부의 기본적인 기능을 대체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평가했다.[27] 그는 아이슬란드의 법률 시스템이 아나코자본주의 법률 시스템에 근접했다고 주장했다.[28] 법 집행은 전적으로 사적이고 자본주의적이었으며, '공적인' 범죄도 사적인 시스템에 맞게 처리되었다.[27] 로데릭 롱(Roderick Long)은 아이슬란드의 정치 구조가 약 40명의 관리(족장)로 구성된 의회에 의해 운영되었으며, 이 의회는 예산도 직원도 없이 1년에 2주만 회의를 열었다고 설명했다. 족장들은 판사 임명과 평화 유지 권한을 가졌고, 이는 수수료 기반으로 처리되었다. 사법 결정은 자력 구제로 집행되었고, 권리가 없는 사람들은 보상 청구를 족장에게 판매했다. 족장의 권력은 시민 사회에서의 권력에 기반했으며, 족장직은 매매 가능한 사유 재산이었다. 그러나 족장직만으로는 권력을 보장할 수 없었고, 자유 농민들의 지지가 필요했다. 족장들은 같은 지역의 다른 족장들과 경쟁했다.[29]
프리드먼은 아이슬란드 제도가 당시에는 잘 작동했지만, 더 크고 상호 의존적인 사회에서도 작동할지는 미지수라고 결론 내렸다.[30] 또한 아이슬란드의 제도가 잘 작동했는지에 대해서는 논쟁의 여지가 있으며, 폭력적이고 부당한 사회로 묘사되기도 한다고 언급했다.[27]
경제학자 빈센트 젤로소(Vincent Geloso)와 피터 T. 리슨의 2021년 연구는 아이슬란드와 중세 유럽의 생활 수준을 비교하는 데이터가 부족하지만, 국가가 통치하는 중세 유럽의 생활 수준이 아이슬란드보다 높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고 결론지었다.[30]
프리드먼과 브루스 L. 벤슨은 아이슬란드 자유국이 형사법 시스템, 행정부, 관료주의 없이도 상당한 경제적, 사회적 진전을 이루었다고 주장했다.[31]
5. 2. 평가와 비판
자유지상주의 이론가 데이비드 D. 프리드먼은 중세 아이슬란드의 제도가 시장 시스템이 정부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정도를 시험하는 흥미로운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했다.[27] 그는 아이슬란드의 법률 시스템이 법 집행은 사적이고 자본주의적이었지만, 단일 법률 시스템이 존재했다는 점에서 아나코자본주의 법률 시스템에 근접했다고 주장한다.[28] 그는 아이슬란드의 법률 시스템이 '공적인' 범죄를 다룰 때도 피해자에게 소송 제기와 벌금 징수 권한을 부여하여 사적인 시스템처럼 만들었다고 설명한다.[27]자유지상주의 학자 로데릭 롱(Roderick Long)은 아이슬란드의 정치 구조가 약 40명의 '족장'으로 구성된 의회에 의해 운영되었으며, 이 의회는 예산이나 직원이 없이 1년에 2주만 회의를 열었다고 설명한다. 족장들은 판사 임명과 평화 유지 권한을 가졌고, 사법 결정 집행은 자력 구제 방식이었다. 힘이 없는 사람들은 법원 판결 보상 청구를 더 강력한 사람, 주로 족장에게 판매할 수 있었다. 족장의 직책은 사유 재산이었고 매매가 가능했기에 사적인 부를 따르는 경향이 있었지만, 족장이 자유 농민들을 설득하지 못하면 권력을 보장할 수 없었다.[29]
프리드먼은 아이슬란드 제도가 당시에는 잘 작동했지만, 더 크고 상호 의존적인 사회에서도 작동할지는 불확실하다고 결론 내렸다.[30] 그는 사가(Saga)에서 아이슬란드가 폭력적이고 부당한 사회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아, 아이슬란드 제도의 성공 여부에 대한 판단이 어렵다고 덧붙였다.[27]
경제학자 빈센트 젤로소(Vincent Geloso)와 피터 T. 리슨의 연구는 아이슬란드와 중세 유럽의 생활 수준을 비교하는 데이터가 부족하지만, 국가가 통치하는 중세 유럽의 생활 수준이 아이슬란드보다 높지 않았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30]
프리드먼과 브루스 L. 벤슨은 아이슬란드 자유국이 형사법 시스템, 행정부, 관료주의 없이도 상당한 경제적, 사회적 진전을 이루었다고 주장했다.[31]
참조
[1]
논문
Heaven is a Place on Earth: Church and Sacred Space in Thirteenth-Century Iceland
https://www.jstor.or[...]
2022-01-09
[2]
서적
Economic Behavior and Institutions: Principles of Neoinstitutional Economic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01-09
[3]
논문
the Civilisation of the First Icelandic Colonists, with a short account of some of their manners and customs
https://archive.org/[...]
1868-01-01
[4]
서적
Icelanders in the Viking Age: The People of the Sagas
McFarland &
2010
[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Iceland
Scarecrow
2008
[6]
서적
The History of Iceland
Univ. of Minneapolis
2000
[7]
서적
Chieftains and Power in the Icelandic Commonwealth
[8]
서적
Chieftains and Power in the Icelandic Commonwealth
[9]
논문
ÍSLENDINGABÓK — KRISTNI SAGA: THE BOOK OF THE ICELANDERS — THE STORY OF THE CONVERSION
http://www.vsnrweb-p[...]
2015-02-13
[10]
서적
Eyrbyggja Saga
Penguin
1989
[11]
서적
Auðnaróðal
Sögufélag
[12]
서적
Auðnaróðal
Sögufélag
[13]
뉴스
Hvers vegna féll þjóðveldið?
http://www.visindave[...]
2017-01-02
[14]
서적
Chieftains and Power in the Icelandic Commonwealth
[15]
웹사이트
Peasant Unrest in Iceland
https://www.academia[...]
2016-02-12
[16]
논문
Frá þrælahaldi til landeigendavalds: Íslenskt miðaldasamfélag, 1100–1400
https://www.academia[...]
2017-01-03
[17]
문서
Hernaðarsaga Íslands : 1170–1581
Pjaxi
2006
[18]
문서
op.cit.
[19]
웹사이트
The Rise and Decline of the Icelandic Commonwealth
https://vtechworks.l[...]
2020-10-05
[20]
서적
Cross and Scepter: The Rise of the Scandinavian Kingdoms from the Vikings to the Reformation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2-01-02
[21]
웹사이트
The Process of State-Formation in Medieval Iceland
https://www.academia[...]
2001
[22]
서적
Chieftains and Power in the Icelandic Commonwealth
[23]
서적
Viking Friendship: The Social Bond in Iceland and Norway, c. 900–1300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22-01-03
[24]
서적
Auðnaróðal
Sögufélag
[25]
서적
The History of Iceland
https://archive.org/[...]
[26]
논문
All the King's men. The incorporation of Iceland into the Norwegian Realm
https://doi.org/10.1[...]
2021-08-08
[27]
논문
Private Creation and Enforcement of Law: A Historical Case
http://www.daviddfri[...]
2016-12-30
[28]
서적
The Machinery of Freedom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2015-02-28
[29]
웹사이트
The Vikings Were Libertarians
https://www.lewrockw[...]
2015-09-14
[30]
논문
Are Anarcho-Capitalists Insane? Medieval Icelandic Conflict Institutions in Comparative Perspective
https://www.peterlee[...]
2023-04-12
[31]
웹사이트
Anarcho-capitalism
https://www.britanni[...]
2022-10-25
[32]
서적
Icelanders in the Viking Age: The People of the Sagas
McFarland &
2010
[3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Iceland
Scarecrow
2008
[34]
서적
The History of Iceland
Univ. of Minneapolis
2000
[35]
서적
Chieftains and Power in the Icelandic Commonwealth
[36]
저널
ÍSLENDINGABÓK — KRISTNI SAGA: THE BOOK OF THE ICELANDERS — THE STORY OF THE CONVERSION
http://www.vsnrweb-p[...]
2006
[37]
서적
Eyrbyggja Saga
Penguin
1989
[38]
서적
Auðnaróðal
Sögufélag
[39]
서적
Auðnaróðal
Sögufélag
[40]
뉴스
Hvers vegna féll þjóðveldið?
http://www.visindave[...]
2017-01-02
[41]
서적
Chieftains and Power in the Icelandic Commonwealth
[42]
웹사이트
Peasant Unrest in Iceland
https://www.academia[...]
2016-02-12
[43]
저널
Frá þrælahaldi til landeigendavalds: Íslenskt miðaldasamfélag, 1100-1400
https://www.academia[...]
[44]
서적
Hernaðarsaga Íslands : 1170-1581
Pjaxi. Reykjavík
2006
[45]
문서
op.cit.
[46]
웹사이트
The Process of State-Formation in Medieval Iceland
https://www.academia[...]
2016-01-18
[47]
서적
Chieftains and Power in the Icelandic Commonwealth
[48]
서적
Auðnaróðal
Sögufélag
[49]
서적
The History of Iceland
[50]
저널
Heaven is a Place on Earth: Church and Sacred Space in Thirteenth-Century Iceland
https://www.jstor.or[...]
2010
[51]
서적
Economic Behavior and Institutions: Principles of Neoinstitutional Economic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52]
저널
the Civilisation of the First Icelandic Colonists, with a short account of some of their manners and customs
https://archive.org/[...]
1868-01-01
[53]
서적
Icelanders in the Viking Age: The People of the Sagas
McFarland &
2010
[5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Iceland
Scarecrow
2008
[55]
서적
The History of Iceland
Univ. of Minneapolis
2000
[56]
서적
Chieftains and Power in the Icelandic Commonwealth
[57]
서적
Chieftains and Power in the Icelandic Commonwealth
[58]
저널
Private Creation and Enforcement of Law: A Historical Case
http://www.daviddfri[...]
1979
[59]
서적
The Machinery of Freedom
https://archive.org/[...]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2015-02-28
[60]
웹인용
Anarcho-capitalism
https://www.britanni[...]
2022-10-21
[61]
웹인용
The Vikings Were Libertarians
https://www.lewrockw[...]
2015-09-14
[62]
저널
ÍSLENDINGABÓK — KRISTNI SAGA: THE BOOK OF THE ICELANDERS — THE STORY OF THE CONVERSION
http://www.vsnrweb-p[...]
2006
[63]
서적
Eyrbyggja Saga
Penguin
1989
[64]
서적
Chieftains and Power in the Icelandic Commonwealth
[65]
웹인용
Peasant Unrest in Iceland
https://www.academia[...]
2016-02-12
[66]
서적
Auðnaróðal
Sögufélag
[67]
서적
Auðnaróðal
Sögufélag
[68]
뉴스
Hvers vegna féll þjóðveldið?
http://www.visindave[...]
2017-01-02
[69]
저널
Frá þrælahaldi til landeigendavalds: Íslenskt miðaldasamfélag, 1100–1400
https://www.academia[...]
[70]
서적
Hernaðarsaga Íslands : 1170–1581
Pjaxi. Reykjavík
2006
[71]
기타
[72]
웹인용
The Rise and Decline of the Icelandic Commonwealth
https://vtechworks.l[...]
1982-08
[73]
서적
Cross and Scepter: The Rise of the Scandinavian Kingdoms from the Vikings to the Reformation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74]
웹인용
The Process of State-Formation in Medieval Iceland
https://www.academia[...]
2001
[75]
서적
Chieftains and Power in the Icelandic Commonwealth
[76]
서적
Viking Friendship: The Social Bond in Iceland and Norway, c. 900–1300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17
[77]
서적
Auðnaróðal
Sögufélag
[78]
서적
The History of Iceland
https://archive.org/[...]
[79]
간행물
All the King's men. The incorporation of Iceland into the Norwegian Realm
https://doi.org/10.1[...]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